본문 바로가기
정보know

일 잘하는 사람 특징_OJT 교육

by Talia Bae 2023. 4. 18.
반응형

 

3월 지금 본사로 이동하고 OJT 교육을 진행했었다

여기서 OJT란? On-the-job Training

직무를 수행하는 동시에 이루어지는 교육훈련

 

 

그래서 그 OJT 교육 중 유튜브로

일 잘하는 신입사원, 일 잘하는 대리

영상을 보고 간단하게 요약문을 작성해라는게

그 날의 업무였다.

영상 본 후 간단한 요약문 여기도 첨부하겟소

 

참고한 영상

https://youtu.be/qL77xKKGpiw

신입사원은 도대체 뭘 해야하는가 (feat. 1-3년차)

필요한 것 ⇒ 배우려는 자세(신규사원-일부 해당, 신입사원-주 목적)

  1. 신입이란
    1. 신입사원(3년 미만) & 신규사원(경력 포함, 신규 입사 사원)
    2. 필요한 것: 배우려는 자세(신규사원 일부 해당, 신입 사원 주목적)
      1. 배우려는 자세를 토대로 3년 이상 ⇒ 성과 발생!
    3. 투입했던 비용(input) 대비 결과(output)이 같아지는 손익분기점(BEP)이 일반적으로 7년(변동 가능성 有, 아무리 빨라도 5년)
      1. 3년까지의 신입사원 = 잘 배우기만 해도 성과 有
  2. 신입사원의 배우려는 자세 갖추기
    1. 일단 웃어라!
      1. 신입만의 에너지 발산(장기적 조직일 경우 신입사원을 통한 회사 문화 공유)
      2. 신입 교육을 통해 기존 직원들도 문화 및 사내 규칙 리마인드 가능
      3. 긍정성이 굉장히 중요!
    2. 질문 많이 하기
      1. 많은 질문이 용인되는 시기 → 6개월 이상 근무시 질문 적정도 파악 가능
      2. 회사 프로세스 질문 
      3. 회사 내규 기준 질문(식사시간 or 티타임시간)
    3. 시간을 지키기
      1. 데드라인 무조건 지키기
      2. 근태
      3. 성과를 내기 위한 전제조건은 기회를 포착하는 것!

참고한 영상

일 잘하는 대리의 특징 (feat. 3~7년차)

  1. 대리란
    1. 실무자급, 실무를 마스터해서 주도적으로 어떤 일을 해나가는 역할, 과장을 대리하는 역할, 팀장급 정도 되는 사람을 대리할 수 있는 사람 ⇒ 실무의 완성도가 높은 사람
  2. 대리로서 일을 잘 하는 것
    1. 상사 지시 사항 우선적 해결 (포인트: 상사)
      1. 상사-대리-신입사원
        • 가. 하향으로 에너지 쓰지 말고 상향으로 에너지 더 쓰기(사원은 알아서 따라와야함)
        • 나. 상사에게 초점을 맞추기
          • A급: 주도적으로 일하는 사람(시키는 것 이상의 아웃풋 내는 사람)
          • B급: 시키는 것을 잘하는 사람(해내면 됨)
          • C급: 시키는 것도 못하는 사람(데드라인도 못 맞추는 사람)
        • 다. 상사가 요청한 모든걸 우선순위로 잡기
    2. 혼자서 다 하지말고, 역할 분배
      1. 혼자서 처리 시 데드라인내 마감 못 할 가능성 존재
        • 가. 체계적 일처리 X
      2. 사람 활용
        • 가. 커뮤니케이션(적절한 부탁과 지시)
        • 나. 대상을 명확히 아는 것(부하직원/동료/상사)
    3. 리더십 준비
      1. 과장급, 팀장급에서 어떤 역할을 해야할지를 생각하면서 일하기
      2. 나의 커리어(영향력, 전문성) → 리더십의 실체: 사람 활용
      3. 상사와의 꾸준한 피드백

그럼 앞으로 다들 화이팅!

신입사원들 가보자고

반응형